
시작하며
요즘 교육계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 중 하나가 바로 ‘기간제 교사 정규직화’야. 이재명 정부 들어서면서 이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지. 사실 기간제 교사는 몇 년 전부터 계속 논란의 중심에 있었어. 정규직 교사와 똑같은 수업을 하고 똑같이 아이들을 책임지는데, 계약은 1년 단위고 방학 때면 잘릴 수도 있는 구조니까. 그러다 보니 교육의 연속성도 깨지고, 교사 개인 입장에선 불안정한 삶을 이어가야 했던 거야.
이번 정부는 이런 현실을 조금이라도 바꿔보겠다고 나섰어. 전국에 약 8만 명 넘는 기간제 교사들이 있는데, 이 중 많은 수가 매년 계약 해지 걱정을 하면서 수업을 해. 정규직과 동일한 자격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금, 복지, 승진 기회에서 불이익을 받고 있는 현실도 문제고. 이재명 정부는 이 불균형을 해소하겠다고 약속했고, 그중 일부 전략은 이미 현장에 적용되기 시작했지.
근데 문제는 단순히 "정규직으로 전환하자"는 말 한마디로 해결되는 게 아니라는 거야. 왜냐하면 지금의 기간제 시스템은 법적으로도 애매하고, 제도적으로도 구멍이 많거든. 예를 들어, 일반 공공기관에서는 2년 넘게 일하면 무기계약직으로 자동 전환되는 규정이 있어. 그런데 교사는 교육공무원이잖아? 그래서 이 법이 제대로 적용이 안 돼. 오히려 계약을 쪼개서 11개월씩만 일하게 하거나 방학 때마다 해고하는 방식이 지금까지 유지돼 왔어.
이런 상황에서 정규직화를 추진하려면 단순히 "직급만 바꾸자"가 아니라 법·제도 전반을 손봐야 해. 이재명 정부도 이 부분을 알고 있어서, 법적 기준을 명확히 하고 계약 연속성도 보장하려는 계획을 세웠지. 특히 '중도계약해지 금지', '경력 인정', '임금 차별 폐지' 같은 요구가 반영된 방안이 논의되고 있어. 현장에서는 교사들 사이에서도 찬반이 갈리지만, 공통적으로는 "지금 시스템은 바뀌어야 한다"는 데는 대체로 동의하는 분위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