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구매규격 사전공개2

구매규격 사전공개 제도(국가계약, 지방계약) 구매규격 사전공개 제도 물품 및 용역계약을 경쟁입찰에 부치는 경우, 입찰공고 전에 구매규격을 사전 공개하여 관련 업체들이 구매규격에 대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매규격 사전공개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사전공개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계약예규) 정부 입찰·계약 집행기준 제77조(구매규격 사전공개) 해당 연도에 1회 이상 구매규격 사전공개를 실시한 물품 또는 용역 (지방계약법 시행령) 제32조의 2(구매규격 사전공개) 긴급한 수요로 구매하는 물품 또는 용역 구매를 비밀로 하여야 하는 물품 또는 용역 추정가격이 5천만 원 미만인 물품 또는 용역 해당 연도에 1회 이상 구매규격 사전공개를 실시한 물품 또는 용역 수.. 2025. 5. 8.
구매규격 사전공개(국가계약법 vs 지방계약법) 구매규격 사전공개(국가계약법 vs 지방계약법) 크게 중요하지는 않지만, 민원방지 최소화 그리고 공익실현(공개경쟁 유도, 의견수렴 등)을 위해서... 무엇보다 법집행 최우선의 관점에서 구매규격 사전공개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입찰공고문 등을 나라장터에 공개하기 전에 계약담당자는 구매규격을 사전에 공개하여야 한다. 이는 선택사항이 아니라, 의무사항을 보는 것이 맞다(관련 법률, 예규 등에 명시됨). 일부 사전공개를 생략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대상이 된다고 하고, 예외적으로 생략되는 사항을 파악하도록 하자. 항상 사업부서의 긴급요청 그리고, 예산집행을 신속 등 여러 사유로 인하여... 불필요한 절차 같지만.. 꼭!! 확인해야 한다. 우리 한국인은 핵심적 요약을 좋아하지 않는가? 국가 및 지방 모두 사전공개.. 2023. 6.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