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02323

공공계약 기본용어(나라장터, 입찰시작, 공공조달) 공공계약업무를 담당하거나, 나라장터(투찰), 입찰공고문, 과업지시서 기타 등을 문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매우 기본적인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금액, 예산과 비슷하기는 하지만... 한 번쯤은 명확하게 짚고 넘어가는 것이 추후 이로울 것이다(후회ㅜㅜ). 아래의 용어들은 아주 기본적이고, 빈도가 높은(?) 꼭 모두 읽어 보자. ▣ 추정가격(부가세 제외가 핵심) 물품・공사・용역 등의 계약을 체결할 때 「지방계약법」 제5조에 따른 국제입찰의 대상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등으로 삼기 위하여 예정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산정된 가격이다. * 예산에 계상된 금액이나 해당 목적물의 규격서・설계서 등에 따라 산출된 금액 등을 기준으로 추산하여 산정한 가격으로 관급자재비와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금액을 말하며, 추정가.. 2023. 11. 6.
다수공급자계약(MAS) 레미콘, 아스콘 2단계경쟁 물품 다수공급자계약 업무처리 시에 일반적인 2단계 경쟁 대상에 대해서 살펴보고 별도로 운영 중인 2단계 경쟁 "레미콘과 아스콘"의 금액기준에 대해서 살펴본다. 모든 것은 규정에서 정해져 있다. 아래 표를 참고하자. 핵심적인 사항에 대해서 색상 표시를 했다. 물품 다수공급자계약 업무처리규정 [시행 2023. 7. 1.] [조달청훈령 제2108호, 2023. 7. 1., 일부개정] 레미콘·아스콘 다수공급자계약 2단계경쟁 업무처리기준 [시행 2021. 9. 1.] [조달청고시 제2021-30호, 2021. 8. 25., 일부개정] 제49조(2단계경쟁 대상) ① 수요기관의 장은 다수공급자계약이 체결된 물품에 대한 수요기관의 1회 납품요구대상 구매예산(각 수요기관의 구매계획에 따라 통합 구매가 가능한 예산으로, .. 2023. 7. 7.
구매규격 사전공개(국가계약법 vs 지방계약법) 구매규격 사전공개(국가계약법 vs 지방계약법) 크게 중요하지는 않지만, 민원방지 최소화 그리고 공익실현(공개경쟁 유도, 의견수렴 등)을 위해서... 무엇보다 법집행 최우선의 관점에서 구매규격 사전공개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입찰공고문 등을 나라장터에 공개하기 전에 계약담당자는 구매규격을 사전에 공개하여야 한다. 이는 선택사항이 아니라, 의무사항을 보는 것이 맞다(관련 법률, 예규 등에 명시됨). 일부 사전공개를 생략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대상이 된다고 하고, 예외적으로 생략되는 사항을 파악하도록 하자. 항상 사업부서의 긴급요청 그리고, 예산집행을 신속 등 여러 사유로 인하여... 불필요한 절차 같지만.. 꼭!! 확인해야 한다. 우리 한국인은 핵심적 요약을 좋아하지 않는가? 국가 및 지방 모두 사전공개.. 2023. 6.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