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작하며
전자입찰에서 자주 혼동되는 입찰 공고 기간과 입찰서 제출 기간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전자입찰서 제출 마감시간이 최소 48시간 이상 보장되어야 한다는 법적 기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자 합니다.
초보실무자의 경우에는 입찰공고기간 모두를 입찰서 제출기간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해도 문제는 없으나, 48시간도 가능함을 알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다만, 주말 고려 필요).
기본 용어 정리
입찰 공고 기간: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작 시점부터 진행되는 기간입니다. 이 기간에는 입찰 참가자격 등록, 문의사항 접수, 질의응답 등을 통한 사전 준비가 포함됩니다.
- 보통 최소 7일 이상의 여유 기간으로 설정됩니다.
- 참여 업체들이 충분한 정보를 숙지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주말이나 공휴일 등 특수 상황을 고려한 일정 조정이 필요합니다.
입찰서 제출 기간: 실제 입찰서가 접수되는 기간으로, 전자입찰(시스템)에서 정해진 제출 마감 일시까지 진행됩니다.
- 법령에 따라, 전자입찰서 제출 마감 일시는 최소 48시간(즉, 2일) 이상 보장되어야 합니다.
- 48시간에 대한 기준: 전자조달의 이용 및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2조 2항에 근거함.
- 입찰 공고 기간과는 별도로 설정되며, 준비된 입찰서를 정해진 시간 내에 완벽히 제출해야 합니다.
입찰 공고 기간과 입찰서 제출 기간의 차이점
- 입찰 공고 기간(공고문 기간 참조: 입찰의 방법 등에 따라 공고기간은 상이함)은 업체들이 입찰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고, 사전 준비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입니다.
- 입찰서 제출 기간은 실제 입찰서가 접수되는 기간으로, 법적 기준에 따라 최소 48시간 이상 보장되어야 합니다(절대로 입찰공고기간과 입찰서 제출기간을 혼동해서는 안됨).
자주 발생하는 오해 사례
- 오해사례: 입찰 공고 기간 내에 언제든지 입찰서를 제출할 수 있다?
- 입찰 공고 기간은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고, 준비할 수 있는 기간일 뿐이며, 실제 입찰서 제출은 정해진 제출 기간 내에서만 가능합니다.
- 오해사례: 48시간 제출 마감시간은 규정에 어긋난다?
- 전자입찰의 경우, 법적 기준에 따라 제출 마감시간이 최소 48시간 이상이어야 하므로 48시간 설정은 오히려 기준에 부합합니다.
- 오해사례: 공고 기간과 제출 기간이 동일하여 혼동된다?
- 공고 기간은 입찰 정보를 숙지하고 준비하는 단계, 제출 기간은 실제 입찰서 접수 단계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각 기간의 목적과 설정 기준을 명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실무 적용 시 고려사항
- 일정 계획 및 관리
- 입찰 공고 기간은 업체들이 충분히 정보를 검토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최소 7일 이상의 여유 기간을 확보합니다.
- 계약방법 또는 물품, 용역, 공사 및 협상에 의한 계약등에 따라 최소 공고기간은 상이함으로 꼭 체크해야 함
- 입찰서 제출 기간은 법적 기준에 따라 최소 48시간 이상으로 확실하게 설정하여 제출 기한을 명확히 합니다.
- 주말이나 공휴일 등 특수 상황을 반영하여 일정 조정에 유의합니다.
- 공고문 작성(정독은 1번이라도 하자 실수하면 또 공고기간이 길어져요!!!)
- 입찰 공고 기간과 입찰서 제출 기간의 구분, 제출 마감시간, 참가 신청 마감시간 등을 명확하게 표기합니다.
FAQ (자주 묻는 질문)_같은 내용의 반복이지만 그래도 확인해 봅시다.
- 입찰 공고 기간이 무엇인가요?
- 입찰 공고 기간은 사업 입찰 참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참가자격 등록 및 사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기간입니다.
- 입찰서 제출 기간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 입찰서 제출 기간은 실제 입찰서 접수가 이루어지는 시간대로, 전자입찰의 경우 법령에서 최소 48시간 이상 확보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 왜 공고 기간과 제출 기간이 혼동되는 건가요?
- 두 기간 모두 입찰 절차와 관련되어 있지만, 공고 기간은 정보 제공과 준비를 위한 단계, 제출 기간은 실제 입찰서 제출을 위한 확정된 시간대이므로 목적이 다릅니다.
- 제출 마감시간을 48시간보다 짧게 설정해도 되나요?
- 전자입찰에서는 법적으로 제출 마감 일시가 최소 48시간 이상이어야 하므로, 단축 설정은 불가능합니다.
마무리하며(핵심요약표)_실무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봅니다.
구분 | 내용 | 특징 |
입찰 공고 기간 | 사업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전 준비(참가자격 등록, 질의응답 등)를 할 수 있는 기간 |
|
입찰서 제출 기간 | 실제 입찰서가 접수되는 정해진 시간대로, 전자입찰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지는 기간. |
|
제출 마감의 법적 기준 | 입찰 참가자들이 충분한 준비 시간을 확보하여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기준. |
|
실무 적용 고려사항 | 입찰 진행 시 일정 계획, 공고문 작성, 질의응답 등 실무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 |
|
반응형
'2025'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슈퍼지구 K2-18b: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 제임스웹 관측 대공개! (0) | 2025.04.20 |
---|---|
비트코인부터 NFT까지: 오스트리아학파가 말하는 디지털 자유시장 (0) | 2025.04.20 |
이기적인 인간도 협력할까? 집단 행동 딜레마와 신뢰의 비밀 (0) | 2025.04.18 |
공유지의 비극적 파괴를 막아라: 현실 사례와 지속가능한 미래 전략 들여다 보기 (0) | 2025.04.18 |
왜 MZ세대는 스레드! 기존 SNS와 뭐가 다른가? (0) | 2025.04.17 |